memo 34

JBoss의 의미

http://opennaru.tistory.com/44 JBoss는 1999년에 Mark Fleury가 EJB컨테이너를 오픈소스로 개발하기 위해 EJBOSS(Enterprise Java Beans Open Source Software)라는 이름으로 시작한 프로젝트였지만 SUN과의 상표권 문제 때문에 앞의 E를 빼고 현재의 JBoss라는 이름이 되었습니다. JBoss EAP6는 무엇인가요? JBoss EAP 6는 개방형 표준을 기반으로 개발된 오픈소스 미들웨어 플랫폼으로 Java EE 6 인증을 받은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 제품입니다. 엔터프라이즈 환경에서 미들웨어가 갖추어야 하는 대용량 트랜잭션(Transaction), 고가용성을 위한 클러스터링, 메시징, 분산 캐싱, 고성능 보장 등의 기술들을 제공합니다..

memo 2023.01.15

REST, REST API, RESTful

REST란 REST의 정의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의 약자 자원을 이름(자원의 표현)으로 구분하여 해당 자원의 상태(정보)를 주고 받는 모든 것을 의미한다. 즉, 자원(resource)의 표현(representation) 에 의한 상태 전달 자원(resource)의 표현(representation) 자원: 해당 소프트웨어가 관리하는 모든 것 -> Ex) 문서, 그림, 데이터, 해당 소프트웨어 자체 등 자원의 표현: 그 자원을 표현하기 위한 이름 -> Ex) DB의 학생 정보가 자원일 때, ‘students’를 자원의 표현으로 정한다. 상태(정보) 전달 데이터가 요청되어지는 시점에서 자원의 상태(정보)를 전달한다. JSON 혹은 XML를 통해 데이터를 주고 받는 것이 ..

memo 2023.01.15

SI에서 자주 사용되는 용어들

SI(System Integration) - 시스템 통합. 대형기관에서 사용하는 업무들을 전산적으로 통합하는 작업. 흔하게는 엔터프라이즈 시스템이라고 부르고. 공공기관, 대기업, 금융권 등의 업무들을 전산화 또는 기존의 시스템들을 통합하여 이전보다 나은 업무프로세스 및 성능개선을 통해 공공 또는 기업의 이익을 추구하는 작업. 이라고 말하고 노가다라고 부르면 적당함. SM(System Maintenance) - 보통 SI프로젝트가 끝나면 그 시스템에 대한 유지보수를 말함. 어디서는 Maintenance가 아니라 Management라고 부르는 쪽도 있음. BP(Business Process) 서버? - 몇번 듣다보니 뭐하는 건지는 알았는데 뭔 약자인지 한참 찾은 용어. 접속서버(중계서버)라는 말로도 사용하고..

memo 2023.01.15

storage 개념

https://blogs.technet.microsoft.com/krdcvteam/archives/1435 오브젝트 스토리지의 개념 배경 현재 우리는 생활의 대부분이 온라인으로 연결되어 소셜 네트워크, 카카오톡, 인스타 그램 등에 글,사진 및 동영상 등을 올립니다. 뿐만아니라 스트리밍 등을 통해서 실시간으로 음악을 들으며, 드롭박스와 같은 스토리지 서비스를 이용하면서 가족사진과 많은 데이터 들을 저장하고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클라우드 컴퓨팅의 다양한 기능 중에 데이터 저장과 관련된 많은 서비스 들이 우리에게 매우 익숙한 일상이 되었으며, 이제는 없어서는 안될 중요한 생활의 요소가 되었습니다. 오브젝트 스토리지는 이러한 클라우드 데이터 저장 공간으로서 우리의 일상뒤에 가려져 있는 많은 클라우드 서비스..

memo 2023.01.15

OM1. OM2, OM3 는 무엇인가?

OM은 Optical Mode 의 약자로 멀티모드에서 만 사용되는 용어이다. 즉, 멀티모드 광섬유의 특징을 나타내는 용어로, OM1 -> 62.5/125 OM2-> 62.5/125, 50/125 OM3-> 50/125 를 의미하며, 또한 여기서 빼 놓을 수 없는 것이, 전송 거리로, 850nm LED를 사용할 경우, OM1 -> 1G ethernet 경우 275M, 10G ethernet 경우 30M OM2-> 1G ethernet 경우 500M, 10G ethernet 경우 50M OM3-> 100M Fast ethernet 경우 2KM, 1G ethernet 경우 1KM 10G ethernet 경우 300M 위에서 보듯이 OM3의 경우 값싼 LED를 사용하는 트랜시버를 이용해 10G의 데이터도 비교적..

memo 2023.01.15

머신러닝 프로젝트 체크리스트

이 체크리스트는 머신러닝 프로젝트를 진행하기 위한 가이드입니다. 8개의 주요 단계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문제를 정의하고 큰 그림을 그립니다. 2. 데이터를 수집합니다. 3. 통찰을 얻기 위해 데이터를 탐색합니다. 4. 데이터에 내재된 패턴이 머신러닝 알고리즘에 잘 드러나도록 데이터를 준비합니다. 5. 여러 다른 모델을 시험해보고 가장 좋은 몇 개를 고릅니다. 6. 모델을 세밀하게 튜닝하고 이들을 연결해 최선의 솔루션을 만듭니다 7. 솔루션을 출시합니다. 8. 시스템을 론칭하고 모니터링, 유지 보수합니다 당연히 이 체크리스트는 각자의 필요에 맞게 조정될 수 있습니다. B.1 문제를 정의하고 큰 그림을 그립니다. 1. 목표를 비즈니스 용어로 정의합니다. 2. 이 솔루션은 어떻게 사용될 것인가? 3. (만..

memo 2023.01.15

메타데이터

https://ko.wikipedia.org/wiki/%EB%A9%94%ED%83%80%EB%8D%B0%EC%9D%B4%ED%84%B0 메타데이터(metadata)는 데이터(data)에 대한 데이터이다. 이렇게 흔히들 간단히 정의하지만 엄격하게는, Karen Coyle에 의하면 "어떤 목적을 가지고 만들어진 데이터 (Constructed data with a purpose)"라고도 정의한다. 가령 도서관에서 사용하는 서지기술용으로 만든 것이 그 대표적인 예이다. 지금은 온톨로지의 등장과 함께 기계가 읽고 이해할 수 있는 (Machine Actionable)한 형태의 메타데이터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데이터에 관한 구조화된 데이터로, 다른 데이터를 설명해 주는 데이터이다. 대량의 정보 가운데에서 찾고 있는..

memo 2023.0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