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
Spring 용어 정리
slow333
2023. 1. 20. 12:29
bean 이란 스프링이 IoC 방식으로 관리하는 객체로 Managed Object라고도 함
- 스프링이 직접 생성과 제어를 담당하는 object만을 bean이라고 함
IoC 컨테이너는 빈의 생성과 제어의 관점에서 Bean Factory라고도 함
- bean factory는 spring이 IoC를 담당하는 핵심 컨테이너로 빈을 등록, 생성, 조회, 반환 등의 관리 기능을 담당
- 일반적으로 이 bean factory를 사용하지 않고 이를 확장한 application context를 사용함.
application context는 스프링이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 지원 기능을 모두 포함
- bean factory를 확장한 IoC 컨테이너로 bean을 등록하고 관리하는 기본 기능은 bean factory와 동일함
- 스프링이 제공하는 각종 부가 서비스를 제공
설정정보/설정 메타정보(configuration metadata)
- application context OR bean factory가 IoC를 적용하기 위해 사용하는 메타 정보
spring framework는 IoC 컨테이너와 application context를 포함한 spring의 모든 기능을 포괄함
- IoC Contaner, application context를 포함해서 스프링이 제공하는 모든 기능을 통칭
interface BeanFactory |
◎ bean 객체에 대한 생성과 제공 ◎ 단일 유형의 객체를 생성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유형의 bean을 생성/제공 ◎ 객체간의 연관 관계를 설정 ◎ 클라이언트 요청시 bean을 생성 ◎ bean의 라이프 사이클을 관리 |
|
↑ | ||
interface ApplicationContext |
◎ BeanFactory가 제공하는 모든 기능 포함 ◎ 엔터프라이즈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추가 기능 제공 ◎ l18N, 리소스 로딩, 이벤트 발생 및 통지 ◎ container 생성시 모든 bean 정보를 메모리에 로딩 ◎ 싱글통 레지스트리로서의 application context ◎ 기존의 object factory와 비슷한 방식으로 동작하는 IoC 컨테이너 |
|
↑ | ||
interface WebApplicationContext |
◎ 웹 환경에서 사용할 때 필요한 기능이 추가된 application context ◎ 가장 많이 사용되며, 특히 XmlWebApplicationContex를 가장 많이 사용 |
|